Fotos de Guinsa

octubre 31, 2010

Fotos de Guinsa

변기 – excusado

octubre 23, 2010

변기 – excusado
및 – y

얼음 – hielo

octubre 23, 2010

물 – agua/líquidos

Quieren ganar un viaje a Corea?

agosto 24, 2010

Si desean participar en un concurso K-POP y ganar un viaje a Corea, pueden leer mas en el blog de Korean Wave

Escuela coreana en Quito, Ecuador

agosto 18, 2010

La escuela coreana en Quito, Ecuador se ubica en Calle Las Toronjas entre Av El Inca y de las Cucaradas. Me parece que tiene clases los sabados por la manana pero no se el numero telefonico.

Ensalada de zanahoria coreana

agosto 13, 2010

Abajo estan fotos de una ensalada de zanahoria coreana. Solo se puede comprar en los paises ex sovieticos; no la encontraras en Corea. Los koryo saram (고려사람), coreanos que viven en los paises ex sovieticos, la crearon.

Fotos de Jeollanam, Corea

julio 4, 2010

한글 hangeul – letras coreanas

May 20, 2010

세계 – mundo

언어 – idioma

유네스코 – UNESCO – Patrimonio de la Humanidad

세계 언어 가운데 한글, 즉 훈민정음은 흔히들 신비로운 문자라 부르곤 합니다. 그것은 세계 문자 가운데 유일하게 한글만이 그것을 만든 사람과 반포일을 알며, 글자를 만든 원리까지 알기 때문입니다. 세계에 이런 문자는 없습니다. 그래서 한글은, 정확히 말해 [훈민정음 해례본](국보 70호)은 진즉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한글’이라는 이름은 1910년대 초에 주시경 선생을 비롯한 한글학자들이 쓰기 시작한 것입니다. 여기서 ‘한’이란 크다는 것을 뜻하니, 한글은 ‘큰 글’을 말한다고 하겠습니다.

Fuente:Navercast

풍수 – feng shui

May 13, 2010

관습- costumbres

비합리적인 – irrazonable

조상들 – ancestros

게다가 – además

여러분은 풍수(風水)하면 무엇이 떠오릅니까? 자손이 조상의 덕을 보려고 묘 자리나 찾는 미신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나요? 그래서 현대와는 맞지 않는 구닥다리 관습이라고 말입니다. 풍수론에는 분명 비합리적인 요소가 있습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풍수론 전체를 버리는 것은 현명한 일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풍수론은 우리 조상들이 천 년 이상 의지하고 살았던 자연관이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지금도 많은 한국인들이 풍수론을 신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아직도 적지 않은 교습소가 있어 풍수론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풍수론에 아직도 경청할 만한 정보가 있다는 것을 말해줍니다.

Fuente: Navercast

조각보 – patchwork

abril 17, 2010

보자기 – tela
귀하다 – precioso
자투리 – sobras de tela
함부로 – descuidamente
무명 – algodón

조각보는 말 그대로 천 조각으로 만든 보자기를 말합니다. 모든 게 귀하던 옛날에 옷 같은 것을 만들고 남은 자투리 천으로 만든 보자기입니다. 옛날에 얼마나 물자를 아꼈습니까? 밥 한 톨도 함부로 버리지 않는 정신이 조각보에도 그대로 반영된 것입니다. 이전에는 베나 무명 같은 옷감을 상점에서 사는 게 아니라 어머니들이 손수 짰습니다. 그렇게 해서 가족들의 옷을 만들어 준 겁니다. 조선 시대에 여성들이 했던 일 가운데 가장 힘든 일이 이 옷감을 짜는 일이라고 합니다. 그러니 그렇게 해서 얻은 천을 함부로 버릴 수가 없었겠지요.

Fuente: Navercast